개발이글스
[JS] 사칙연산 , Data Type (Foundations) 본문
자바스크립트 코드 실행 방법
자바스크립트의 코드 실행을 위하여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는 없습니다!
크롬, 사파리 등과 같은 웹 브라우저에서 개발자모드를 실행하고(마우스 우클릭-> "검사" 클릭-> [콘솔]탭 클릭)
1. 사칙연산
console창에서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이용해 사칙연산이 가능합니다.
덧셈은 "+" 뺄셈은 "-" 곱셈은 "*" 나눗셈은 "/"
2. Data Type(데이터타입)
: 데이터 타입을 확인하는 방법은 typeof()라는 코드를 콘솔에 입력하면, 데이터의 타입을 확인할 수 가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는 6가지의 기본 데이터타입이 존재하는데, 꼭 알아야할 4가지를 소개합니다.
- Number : 숫자형태
- String: 문자열 형태
- Boolean: 참과 거짓의 형태
- undefined: 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았음을 안내
ex)
typeof(32) -> "number"
typeof("hello")->"string"
typeof(true)->"boolean"
typeof(x)->"undefined"
#타입캐스팅
: 데이터 타입의 종류를 바꾸는 행위가 바로 타입캐스팅 입니다. 자주 사용되는 타입캐스팅 명령어 종류는 3가지! 외웁시다.
1. String :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스트링타입으로 변환합니다.
ex) String(3) -> "3"
String (true)-> "true"
2.Number: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숫자타입으로 변환합니다.
ex) Number("3") -> 3
Number(false) -> 0
Number("abc") -> NaN(Not a Number) -> 숫자가 들어가야할 자리에 숫자가 아닌 존재가 입력되면 NaN을씀.
3.Boolean: 다른 타입의 데이터를 불리언타입으로 변환합니다.
ex) Boolean(0) -> false
Boolean(Nan) -> false
Boolean(3) -> true
Boolean("a") -> true
Boolean("false") -> true
:숫자0 또는 NaN 과 같이 의미가 없는 경우에만 false가 나오고, 유의미한 데이터를 입력받은 경우에 true가 나온다.
"false"를 입력했을 때도 true가 나온다. 쌍따옴표 안에 있기때문에 다섯개의 알파벳으로 구성된 유의미한 데이터 이기때문.
#인덱싱과 슬라이싱
1. 인덱싱 indexing
"abcd"라는 스트링이있다. 여기서 세번째 알파벳은 무엇일까? 바로 "c"이다. 이것이 인덱싱이다.
인덱싱은 데이터를 분석해서 우리가 원하는 순서에 위치한 데이터를 뽑아줍니다.
세번째 자리에 있는 데이터를 뽑아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ex) "abcde"[2] -> "c"
3번째 자리에있는 숫자를 뽑아낸다했는데 왜 3이 아닌 2를 입력했을까요?
컴퓨터는 사람과 다르게 0부터 세기때문에 0번에는 a, 1번에는 b, 2번에는 c 이런식으로 세게 됩니다.
2.슬라이싱 slicing
만약, 하나의 값이 아니라 여러개의 값을 가져오고 싶다면 슬라이싱을 사용해주면 됩니다.
ex) "abcdefghijk".slice(3,5) -> de
괄호안의 3과 5는 시작점과 종료점을 뜻합니다. 따라서 시작점3번부터 종료점5번의 바로전 순서에있는 데이터까지를 뽑는겁니다. 그러니까 3번, 4번 인덱스에있는 데이터를 가져오겠죠. 3번은 d, 4번은 e가 되기때문에 결과값은 de가 되는겁니다.
'Programming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 배열 array (0) | 2022.08.31 |
---|---|
[JS] 함수 (0) | 2022.08.29 |
[JS] 변수, If문, For문 (0) | 2022.08.23 |
[JS] 자바스크립트 소개 (0) | 2022.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