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Data Structures

[자료구조] BFS, Breadth-First Search(너비 우선 탐색)

지윤이글스 2023. 1. 17. 12:24

너비우선탐색(BFS) 이란?

: 루트노드 (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 에서 시작해서 인접한 노드를 먼저 탐색하는 방법

  • 시작 정점으로부터 가까운 정점을 먼저 방문하고 멀리 떨어져있는 정점을 나중에 방문하는 순회방법.
  • 즉 깊게(deep)탐색하기 전에 넓게(wide) 탐색하는 것이다.
  • 사용하는 경우: 두 노드사이의 최단 경로 혹은 임의의 경로를 찾고 싶을 때 이 방법을 선택.
  • BFS(너비우선탐색)가 DFS(깊이우선탐색) 보다 좀 더 복잡하다. 

너비우선탐색(BFS) 의 특징

  • 직관적이지 않은 면이 있다. -BFS는 시작노드에서 시작해서 거리에 따라 단계별로 탐색한다고 볼 수 있다. 
  • BFS는 재귀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 이 알고리즘을 구현할 때 가장 큰 차이점은 그래프 탐색의 경우 어떤 노드를 방문했었는지 여부를 반드시 검사해야한다는 것이다. -> 이를 검사하지 않을 경우 무한루프에 빠질 수 있다. 
  • BFS는 방문한 노드들을 차례로 저장한 후 꺼낼 수 있는 자료구조인 큐(Queue) 를 사용한다.
  • 즉 선입선출(FIFO) 원칙으로 탐색.
  • 일반적으로 큐를 이용해서 반복적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장 잘 동작한다.

 

 

너비 우선 탐색(BFS)의 시간 복잡도
인접 리스트로 표현된 그래프: O(N+E)
인접 행렬로 표현된 그래프: O(N^2)
깊이 우선 탐색(DFS)과 마찬가지로 그래프 내에 적은 숫자의 간선만을 가지는 희소 그래프(Sparse Graph) 의 경우 인접 행렬보다 인접 리스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